가. 학과 소개
기계란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것으로 에너지를 변환 또는 전달 시키는 장치로써 기간 산업의 중추적 부품을 설계 및 생산하는데 활용됩니다. 정밀기계과에서는 기계분야의 설계 및 가공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고, 범용장비와 컴퓨터를 이용한 정밀가공 장비를 능숙히 다룰 수 있는 전문 기술을 교육하여 능동적 현장 맞춤형 영마이스터를 육성합니다.
나. 교육목표 (인력양성 유형별)
- 기계부품가공원
- 기계제품을 가공하기 위한 도면을 해독하고, 공작기계를 활용하여 규격에 맞는 기계제품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 기술자 양성
- 기계조립설치원
- 전문적 가공 기술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생각과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기능/기술인(영마이스터) 양성
- 기계금형가공원
- 컴퓨터를 활용한 설계(CAD), 가공프로그램(CAM), 컴퓨터활용 정밀공작기계(CNC/MCT)를 능숙히 다룰 수 있는 전문 기술인 양성
다. 졸업 후 진로
학과 | 정밀기계과 |
---|---|
관련 직업 | 기계설계분야, 금형설계 및 제작분야, 기계부품가공분야, 기계조립분야, 설비보전분야, 산업기계제작분야, 대형선박 엔진 및 기계관련 산업분야, 공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, 품 질관리 및 생산관리 분야 |
관련 자격 |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,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, 기계가공조립기능사, 금형기능사, 전산응용 기계제도기능사, 설비보전기능사, 공유압기능사, 용접기능사 |
취업직무영역 | 기계부품가공, 금형가공, 기계·금형설계, 기계유지보수, 국영기업체, 대기업, 기술직 공무원, 생산·품질·공정관리, 재료시험 연구원 |
수행업무 | CAD, CNC선반, 머시닝센터 및 범용 공작기계(선반·밀링)를 활용한 기계(금형)설계, 기계부품 및 금형가공, 조작·유지보수·설치, 조립생산 등의 생산 현장에서 제품의 생산 활동 및 제품 적합성 시험에 능동적으로 수행 |
라. 주요 실습안내
- 범용밀링 실습
-
밀링가공은 공작기계 가공의 한 종류로 평면가공, 보링가공, 탭가공, 엔드밀가공 등 다양한 절삭가공을 할 수 있는 기계가공의 기초가 되는 실습
- 평면연삭 실습
-
절삭가공이 어려운 평면과 원통면의 표면을 소량씩 절삭하여 공작물을 정밀하게 연삭 가공하는 실습
- CNC선반 실습
-
공작물에 대한 공구의 위치를 수치 정보로 지령하여 제어하는 공작기계로 다양한 형상의 축 등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CNC선반으로 가공하는 실습
- 머시닝센터 실습
-
CAD/CAM S/W와 CNC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자동차, 항공, 선박에 필요한 초정밀 부품을 가공하는 실습
- CAD/CAM 실습
-
기계부품을 2차원, 3차원 형상으로 구현하여 화면에 표시하고, 도면화하여 실습수업 전 제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실습
- 정밀측정 실습
-
품질 요구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직접 부품을 도면에 제시된 길이, 각도, 테이퍼, 형상 등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로 가공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실습